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주도의 검은보물 제주흑우] 제4편 근대사의 제주흑우 그리고 제주흑우의 부활
    설렘 그리고 감성 in Jeju/제주이야기 2015. 6. 4. 07:00



    근대사의 제주흑우


    1920년 조선농회보에서는 한우의 모색은 갈색이지만, 적갈색, 황갈색, 흑색, 흑갈색, 회갈색, 백색 등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1928년 권업모범장사업보고서도 한우모색은 적갈색 77.8%, 화갈색 10.3%, 흑색 8.8%, 렴색 2.6%, 갈색백반 0.4%, 흑색백반 0.07%로 발표하였습니다.

    1924년에 제주흑우 암소 125두와 숫소50두가 일본으로 이동되고, 1925년에 암소25두와 숫소1두가 배를 타고 제주시 산지천포구(동부두)에서 일본으로 운반되었고 제주에서 사육되어온 황색한우는 한림읍 옹포도축장(1928년개소)에서 도축되어 군수용 통조림으로 가공되어 이용되었다고 합니다. 1922년부터 1932년동안 조선본토로 이동된 제주한우는 4,822두 이고, 1926년 제주지역에 소사육두수는 숫소 18,189, 암소 16,616두로 전체 34,895두이며 사육호수는 24,154호입니., 1931년에는 40,924두로 당시 국내 사육두수30%에 해당하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938년부터 도난방지와 계통번식, 소등록을 위한 금속이표를 부착하기 시작합니1933년부터 마을별로 목장조합을 결성하여 각 읍.면별로 이를 통합할 수 있는 연합회를 조직하고 목장의 급수시설, 돌담의 축성과 보수 및 목초의 재배 등을 시행하였고 당시 목장조합 수는 116개이고, 면적은 33,290정보에 이르며 지역별로 목야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여 마을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마을공동목장의 출발점이 되었다고 합니.


    1) 제주흑우의 방목형태와 모색의 특성


    1940대 제주지역의 방목형태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해안지대(표고0-200m),중간지대(200-250m),산간지대(350-600m),산림지대(600m이상)로 분리 할 수 있으며 방목사양은 이른봄은 해안지대에서  출발하여 목초가  성장하는 과정을 보면서 중간지대로 이동하고, 여름철이되며는  곳자왈,산간지대나 산림지대에서 방목됩니다. 11월이 되서는 밑으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연중방목사양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스위스 알프스산맥의 사육모습과   흡사하다고 합니다.   방목 사육되는 제주지역 소의 모색 특징을 보며는 흑황의 가장 많이 분포하고,  노란쇠(지금의 황색한우보다 약간여린색), 그리고 흑소(지금의 흑우)가 뒤를 이었고, 약간의  석쇠 (칡소)와 어럭쇠 (흰반점)가 분포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제주흑우의  특징을 보면 우리나라 내륙지역과 격리되어 사육되면서 체구가 왜소형으로  변하여 사지가 짧고 가는 편이지만  체질이 강건하고   지구력이 좋으며  질병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특히 진드기에 매우 강한 특징을 보여  방목사양관리에 유리하다고 합니다.  흑우의 혈액내에는 혜모글로빈(hemoglobin)수치가 일반한우보다 높으며 이는 진드기에 대한 면역체계가 특별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송아지는 분만후 첫 초유를 먹고 나서 3-5시간이면  야생형기질이 있어 뛰어  다니는 모습을  자주 보여 준다고 합니다.  포유후에는 숲.덤불속에 숨어 있다가 젖먹을 시간이 되면,  어미가 송아지를 찾는 것이 아니라, 흑우송아지가 어미를 소리내어 부름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고 합니다. 또한 어미는  까마귀와 노루, 들개가 출현하면 즉각 반응하여 송아지가 있는 방향으로 달려가고환축을 치료하기  위해 진드기구제장(계류장)으로 유인하다 보면  멀리서 알아차리고  도망치는 흑우송아지를 목격하게 된다고 합니다. 매우 영리하게 행동하는 모습을 방목지에서 감지할 수 있습니다.


    2) 제주흑우의 체형

    1960년대 제주흑우의 체형을 보면, 4세이상에서 어깨는 넓고, 후구 골반부위는 가늘어 지는 형태를 보입니다. 내륙에서 제주지역으로 이동하였을 때도 체형은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제주소가 육지로 운반되어 사육되면 골반부위가 넓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한우모색에서도 내륙에  한우가 제주지역에 사육되며는 피모색이  황색에서  옅은 노란색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방목지에서 관찰할 수 가 있고 이러한 환경적요소가 진화과정에서 흑우분포를 높게 해주는 결과를 만들었고, 브라만품종과 제주한우교잡에서도 흑색이 F1에서 출현하며 모색과 체형에서는 제주흑우체형에 비슷한 표현형질을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1985년 제주흑우와 동일 나이의 한우를 비교하여 보면 24개월령 암소 체중은 321kg로 한우 345.1kg 보다 적으며 체고와 체장도 각각 118.9, 130.0로 한우(120.6, 139.3) 보다 적으며, 일반 한우에 비해 20% 정도 왜소하다고 합니다. 


    [표]제주흑우와 육지한우(: 24개월령)의 기본체위 비교

    구 분

    제 주 흑 우

    육 지 한 우

    체 중(kg)

    321.0

    345.1

    체 고(cm)

    118.9

    120.6

    체 장(cm)

    130.0

    139.3

    흉 위(cm)

    166.0

    167.8

    흉 심(cm)

    60.7

    63.9

    흉 폭(cm)

    34.0

    37.5

    곤 폭(cm)

    36.5

    41.7

    좌 골 폭(cm)

    22.1

    24.4

    십 자 고(cm)

    121.4

    124.5

    고 장(cm)

    42.1

    46.0


    간혹 한라산에 생존하는 야우를 포획하는데 한라산자연생태계에서 머물다가 국립공원내  인접한목장에 암소들의 발정이 발현하면 내려와서 교배를 하고 다시 사라진다고 합니다. 성질이 아주 사납고, 인기척이 있으면 그대로 도망가는 습성이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야우들은  농가에서 방목하다 분실한 소들이며 광령, 솔도, 광평, 창천주변에서 목격하였다는 제보들이 있다고 합니다.


    3) 제주흑우고기(육질)의특성

    제주흑우의 고기는 과거에 임금님께 진상하였듯이 고기의 육질과 등심내 근내지방 침착(Marbling)이 우수하고, 지방침착 형태가 가늘고 섬세하여 조직감이 우수하고 부드러우며 향미가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기의 결도 한우는   일률적이나 흑우는 결이 여러가지 모양으로 나타나고 있고  고기내 근섬유비율도 일반한우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흑우고기에 분석연구도 수행되어야 합니다. [사진 1]

    아래 는   한우와 흑우고기 내의 불포화지방산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화지방산은   한우보다   수치가 낮고, 고기맛에 관여하는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올레인산과 리놀렌산은 제주 흑우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본화우도 높은 수치를 보여줍니다. 옛 선인들은 고기를 오래 보관하기 위해서 항아리속에 간장을 넣어서 저장하였고,  소금에 절여 보관하다가 제사행사에 젖갈로 사용하는 풍습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생고기를  토막토막 썰어서  소금간을 하여 건조시켜  말린 다음 육포로  이용하는 지혜로움도 있었다고 합니다

                                            [사진 1]


    [표] 한우와 흑우고기 지방산 분석결과 비교

    지 방 산(%)

    한 우

    제 주 흑 우

    올 레 인 산

    48.30

    49.61

    리 놀 산

    1.69

    1.99

    Υ-리 놀 산

    0.095

    0.13

    리 놀 렌 산

    0.105

    0.15

    포 화 지 방 산

    44.06

    40.84

    불 포 화 지 방 산

    55.94

    59.17


    4)제주흑우의 당면과제

    제주도는  흑우 육성사업 및 명품화 사업등 원원종사업에 전략적인 준비를 하고 사육두수 증가와 지역특산품화를 위한 기반시설을 장려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현재 진행되는  제주흑우사업에서 농촌진흥청 난지연구소와  축산진흥원은 흑우종모우 정액공급과 수정난채란, 유전자분석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 한우에 수정란이식을 통해 흑송아지를 탄생시키기도 하였습니다. 기반 환경이 아직은 미약하지만 점차 흑우사육농가의 확장과 흑우공란우및 이식할 수란우의 개체확장을 통해  그 저변을 점차 확장해 나가고 있지만  제주흑돼지처럼 제주흑우도 일반 한우에 비해 그 발육속도가 느려  관리비가 더 많이 들어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품질의 고급화와 제주흑우를 살려 제주의 브랜드로  그 위상을 높이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의  열정으로 점차 그 개체수를 늘려나가고 있다고 합니다. 전국적으로 제주 흑우를 보급할 수 있는 시기는 아직 멀었지만 제주에서는 제주흑우를 맛 볼 수가 있습니다. 제주도의 검은 보물로 이미 제주흑돼지는 자리를 잡았지만 조만간 제주흑우도 제주를 대표하는 먹거리로 자리를 잡으리라 생각을 합니다.


    * 참고자료제공 : 제주농업 마이스터대학 축산학과/한우전공 주임교수 문성호교수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