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구례여행] 지리산의 맑은 물과 정기 남방제일선찰인 천은사를 찾다.
    한국의 사찰/전라 2011. 8. 20. 01:00

     

     

     

     

     

     

     

     

     

     

    광대한 지리산 서남쪽 자락 맑은 물과 맑은 정기가 가득한 화엄사, 쌍계사와 더불어 지리산 3대사찰중의 하나로 꼽히는 천은사.

     

    천천히 산보하듯이 산문과 일주문을 지나다 보면 아주 독특한 풍경의 수홍문에 다다르면

    그 아름다운 경치에 반해  발길을 머물러 잠시 세속을 잊어버리고 무아지경에 빠지게 됩니다.

     

     

    불어오는 바람에 부딪치는 나뭇잎들의 독경소리 그리고 시원하게 흐르는 물소리가

    속진(俗塵)을 털어내며 정화된 마음으로 천왕문으로 들어가게 합니다.

     

     

     

     

    피안교라 불리는 저 다리는 세속의 마음을 청정하게 씻어버리고 진리와 광명이 충만한 불, 보살님들의 세계로 나아간다는

    의미스스로 마음가짐을 돌이켜 보게 하는 다리라 합니다.

    피안이란 온갖번뇌에 휩싸여 생사윤회하는 고해의 이쪽언덕 건너편에 있는 언덕이란 뜻을 말한답니다.

     

    그 다리위에 2층 누각으로 지어진 수홍루는 정면 1칸, 측면 1칸인 2층누각으로 조선후기에 만들어 졌답니다.

    계곡과 어우러진 누각은 천은사를 대표하는 경치라고 할 수 있을만큼 아름답습니다.

     

     

     

     

    천왕문에 오르기 전 입구에 있는 약수물 한모금 마시며 마음을 정화 시키고 천천히 천왕문에 오르기 시작합니다.

    천왕문불국토를 지키는 동서남북의 사천왕을 모시는 문으로 불법을 수호하고 사악한 마군을 방어한다는 뜻에서 세워졌습니다.

     

     

     

     

     

    천왕문을 거쳐 경내에 들어섭니다. 계단 저 너머로 많은 전각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천은사신라중기 흥덕왕3년(828) 인도의 덕운스님이 창건하였다 전해지나 그것은 왜곡되었다고 전해지고

    도선국사가 창건 후에 덕운스님이 중수하였다는 설과 지금은 도선국사가 중건 하였고

    창건주에 대한 기록과 유래를 알 수 없다는 쪽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절은 더욱 번성하고 충렬왕 때(1275~1308)에는 '남방제일선원'으로 지정되어 많은 수도자가

    수행하는 수행처로의 역활을 이어나갔다가 조선시대임진왜란등의 병화를 겪으면서 대부분 소실되고

    쇠퇴의 길을 걷게 됩니다. 그로하여 당시 절의 역사 많은 부분이 공백으로 남아 있는 원인이 되었답니다.

     

     

     

    그 이후 광해군 2년(1610) 당시 절의 주지 혜정선사가 소실된 가람을 중창하여 명맥을 이어나갔고

    숙종5년(1679)단유선사가 절을 크게 중수하였는데 이로부터 절이름을 감로사에서 천은사로 바꾸었답니다.

    숙종41년(1715)찰상전에 영산회상도를 조성하였고, 영조25년(1749)에는 칠성탱화를 조성하였답니다.

     

     

     

     

     

     

     

    영조 50년(1774)에 이르러 혜암선사가 그 전해에 화재로 소실된 전각을 중수하면서 2년간에 걸친

    중창불사로 절을 새롭게 중창하여 지금의 대부분의 모습을 이루어냈다 합니다. 그리하여 혜암선사의 중창은

    절의 역사에 있어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됩니다. 현재 절 일원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35호 지정되어 있습니다.

     

     

     

     

     

     

     

     

     

     

    천은사의 설화와 전설

    천은사라는 이름에는 재미난 설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단유선사가 절을 중수할 무렵 절의 생가에 큰 구렁이가 나타나 사람들이 무서움에 떨게 되자

    한 스님이 용기를 내어 잡아 죽였으나 그 이후에 샘에서 물이 솟지 않았다 합니다.

    그래서 '샘이 숨었다'는 뜻으로 천은사(泉隱寺)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절 이름을 바꾸고

    가람을 크게 중창했지만 여러차례 화재가 발생하는 등 불상사가 끊임없이 일어나자 마을 사람들은 절의 수기(水氣)를

    지켜주는 이무기가 죽은 탓이라 하였답니다. 그러다 조선의 4대명필가 중 한 사람인 원교 이광사(李匡師 1705~1777)

    절에 들렸다가 이 이야기를 듣고 마치 물이 흘러 떨어질 듯 한 필체'지리산 천은사"라는 글씨를 써 주면서 이 글씨를 현판으로

    일주문에 걸어두면 다시는 화재가 생기지 않을 것이 하니 사람들이 의아해 하면서도 그대로 따랐더니 신기하게도 이후로는

    화재가 일지 않았다고 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