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사의 제주흑우 1920년 조선농회보에서는 한우의 모색은 갈색이지만, 적갈색, 황갈색, 흑색, 흑갈색, 회갈색, 백색 등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1928년 권업모범장사업보고서도 한우모색은 적갈색 77.8%, 화갈색 10.3%, 흑색 8.8%, 렴색 2.6%, 갈색백반 0.4%, 흑색백반 0.07%로 발표하였습니다. 1924년..
조선시대 목마장과 제주흑우에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제주에서는 말과 소의 중요성이 대단하여 그에 대한 관리가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집니다. 태조 7년(1398) 제주지역에 우마적을 조사한 결과 말은 4,414필이고, 소는 1,914두였습니다. 우마적은 모두 5통이 작성되어서 목..
클레이사격과 실탄사격 그리고 수렵체험을 할 수 있는 종합레저타운 대유랜드 1백만평의 광활한 제주의 대자연위에 세워진 종합레저타운 대유랜드는 실탄을 사용하는 사격과 수렵체험을 할 수 있는 제주의 레저 스포츠타운으로 은은한 떨림과 짜릿한 스릴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