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에만 존재하는 희귀토종 재래가축인 제주흑우 이미 제주도에는 제주흑돼지가 제주도를 대표하는 먹거리로 자리를 잡고 있어 제주를 찾는 여행객들이 꼭 먹어봐야 할 품목 1순위에 오르고 있어 제주 전역에 흑돼지를 취급하는 업소가 즐비하게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그만큼 제주..
근대사의 제주흑우 1920년 조선농회보에서는 한우의 모색은 갈색이지만, 적갈색, 황갈색, 흑색, 흑갈색, 회갈색, 백색 등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1928년 권업모범장사업보고서도 한우모색은 적갈색 77.8%, 화갈색 10.3%, 흑색 8.8%, 렴색 2.6%, 갈색백반 0.4%, 흑색백반 0.07%로 발표하였습니다. 1924년..
조선시대 목마장과 제주흑우에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제주에서는 말과 소의 중요성이 대단하여 그에 대한 관리가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집니다. 태조 7년(1398) 제주지역에 우마적을 조사한 결과 말은 4,414필이고, 소는 1,914두였습니다. 우마적은 모두 5통이 작성되어서 목..
제주흑우의 기원 제주흑우의 기원은 유럽원우와 인도원우 혼혈종으로 중국과 몽고를 거쳐 한반도로 유래되었으며, 다른 품종과 교배됨이 없이 동종번식을 하면서 정립되었다고 합니다. 2006년 제주대 오문유 교수팀이 제주시 애월읍 고내유적지(A.D. 700-800), 곽지유적지(A.D. 0-900)에서 발견..
멸종위기에서 다시 부활하는 제주도의 검은 보물 제주흑우 지난 날 먹거리 X화일에서 방송한 '맛의 방주를 찾아서'란 프로에서 제주흑우를 취재하지 않았으면 그 자체를 모르고 지금까지 지냈을 뻔 했습니다. 제주 하면 바로 제주흑돼지가 떠오르듯 이미 브랜드화 된 흑돼지에 비해 제주..
제주의 검은 보물 중 하나인 제주흑우를 아십니까? 일반적으로 제주하면 떠오르는 축산물은 제주흑돼지, 제주마(조랑말)를 떠오르게 하는데 일명 검은 소라고 불리는 제주흑우도 제주도에만 존재하는 희귀토종 재래가축입니다. 아직 까지는 일반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아서 지명..